doistory

[비전공자의 ADsP 취득기] #1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독학 고득점 합격 후기/SQLD 차이 비교 본문

[ Data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비전공자의 ADsP 취득기] #1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독학 고득점 합격 후기/SQLD 차이 비교

떡볶이최고 2023. 10. 13. 15:05

지난 여름 SQLD 시험을 보고 좀 쉬다가 제38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ADsP 시험에 응시했다.

SQLD vs ADsP

SQLD와 성격이 완전 다른 시험이었다.

다른 사람들의 후기나 세간에 알려진 정보를 보면 난이도가 SQLD > ADsP 라고 하는데,,,

난 ADsP를 공부하는게 좀 더 힘들었다.

왜냐하면 SQLD는 쿼리 질의어 기반이라서 sql언어의 문법과 구조를 이해하고 푸는 문제들이 많아서 ADsP보다 암기할 게 적었다.

물론 1과목은 암기량이 꽤 되지만,, sqld 1과목은 과락을 피하는 목표로, 2과목에서 합격점수를 만드는 목표로 공부하면 된다.

SQLD의 1과목의 경우 ADsP와 이론이 약간 겹치는 부분들이 있었다. 그래서 ADsP에 도움이 되었다.

ADsP는 SQLD보다 좀 더 문과스럽게 암기해야하는 지식이 더 많다. 특히 경영학 개념들이 일부 섞여나오고,, 프로젝트 관리론에 대한 것을 묻기도 하기때문에 SQLD보가 쌩 암기가 더욱 필요한 시험같다.

ADsP 합격 후기와 공부기간

공부기간은 1주일을 잡았다.

일주일간 공부시간은,, 공부할 때 켜두는 집중관리 앱 기준으로 48.5 시간이다

이동시간에 종종 유튜브 설명강의를 BGM처럼 틀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시험본 당일 느낌은 기존 기출과 결이 달랐다는 인상이다.

이전 회차에서 출제오류 이슈로 언론에서 많은 지탄을 받은 탓에 출제 시비가 적은 통계지식 문제들이 꽤 나와서 너무 힘들었다. 소거법으로 겨우겨우 풀어냈다.

시험 후 많은이의 궁금점이었던 ‘단답형 답 완전 똑같이 써야하는지?’, ‘단답형 약간 다르게 쓰면?’에 대한 결론은

단답형 문제에서 모든 글자를 똑같이 쓰지 않고 적당히 의미만 통하면 점수를 주는 것 같다. 

예를들어 ‘DIKW’ , ‘DIKW피라미드 모델’, ‘DIKW피라미드’ 모두 정답처리 되었음을 확인했다. 다만 DIKW가 빠지면 오답이 되겠지.

사전 발표점수에서 변경점은 없었다.

각 과목별로 사이좋게 1문제씩 틀려서 94점을 받았다.

2과목 풀면서 애매한게 넘 많았는데 다행히 소거법이 잘 통했나보다.

담에는 공부 내용에 대해 포스팅 해야지,,,

일단 빅분기도 7일전사 ,,,, 화이팅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