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story

[Tableau] 태블로 프렙 빌더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후 추출하기 본문

[ Data ]/Tableau

[Tableau] 태블로 프렙 빌더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처리 후 추출하기

떡볶이최고 2023. 10. 27. 15:26

태블로 프렙 빌더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한 전처리를 수행한 화면이다.
태블로의 경우 코드를 작성하거나 SQL 쿼리문을 직접 짜지 않고 클릭으로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테이블 세로로 병합]
영업실적 2017 ~ 2020년의 데이터 파일이 excel 파일 형태로 년도별로 나뉘어있다. 
파일들끼리 드래그 & 드롭 하여 유니온(union)할 수 있다.
이렇게 유니온을 이용하면 2017영업실적 아래에 2018년, 2019년, 2020년 데이터를 세로 방향으로 이어붙어 하나의 테이블로 만들 수 있다.

[테이블 가로로 병합(join)수행]
그다음 앞에서 공부한 세로가 아닌 가로 방향으로 테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데,
이때 SQL에서 JOIN개념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름도 동일하다.
위에 그림에서도 유니온1과 지역별관리자의 교집합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문에, 교집합 부분이 색깔 표시 되어있다.

 
[테이블 병합 조건/유형 수정]
조인을 클릭하여 살펴보면 연결된 기준 컬럼, 조인유형, 조인절, 조인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조인 유형을 변경하거나... 조인결과 일치하지 않는 컬럼 이름들을 동일한기준으로 수정할 수 있다.

조인 유형에서 집합 벤다이어그램을 클릭으로 활성화/비활성화 하여 조인 유형을 변경할 수 있다.
SQL보다...눈으로 구조가 보여지고 테이블을 컬러를 통해 구분해 보여주기에 더욱 직관적이다. (만든 사람 복받으세요)
 
 
[join한 테이블 데이터 정리하기]

'정리'를 통해서 데이터 원본을 직접 건들지 않고,, 수정/정리된 테이블을 만들 수 있다.
각 컬럼의 데이터 타입을 변경하거나, 값을 편집하거나, 그룹화하거나 Null 처리 등 간단한 전처리가 가능하다.
정리된 테이블에 조인이 필요한 테이블들을 연결하고,
'정리2'에서 중복된 컬럼이나 불필요하게 추가로 생겨난 컬럼들을 정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Export]

위 사진처럼 + 버튼을 누르고 출력 흐름을 추가하면 된다.
export 할 데이터는 원본데이터처럼 csv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고
협업을 위하여 태블로 서버나 오라클과 같은 데이터데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태블로를 통하여 분석을 수행하고 데이터 시각화를 하기위해 .hyper 확장자로 파일을 저장했다.

[태블로에서 열기]
수익성분석 이라는 이름으로 생성된 hyper 파일을 클릭하여 오픈하면
자동으로 태블로에서 열린다.

이제 태블로프렙으로 전처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태블로에서 분석 및 시각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